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료 NAS 구축하는 법, 오래된 PC로 개인 클라우드 만드는 방법

by think15151 2025. 5. 24.

 

클라우드 시대가 열리면서 구글 드라이브, 원드라이브, 드롭박스 등 다양한 온라인 저장소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료 용량의 한계, 개인정보 보안 , 파일 전송 속도 등의 문제로 인해 개인용 NAS(Network Attached Storage)를 직접 구축하려는 사용자도 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별도 장비 없이 오래된 PC나 노트북만으로 무료 NAS를 구축하고, 자신만의 개인 클라우드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NAS 운영체제 추천부터 설치, 설정, 외부 접속까지 실제로 동작 가능한 방법이니 끝까지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1. NAS란 무엇인가?

NAS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 장치로,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파일을 공유하거나 백업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파일 서버, 미디어 서버, 자동 백업 장치로 활용됩니다.

1-1. 상용 NAS vs 자가 구축 NAS

  • 상용 NAS: 시놀로지, QNAP 등의 브랜드 제품. 쉬운 설치와 인터페이스가 강점
  • 자가 구축 NAS: 오래된 PC에 NAS 전용 OS를 설치해 사용. 초기 설정은 복잡하지만 비용이 거의 없음

비용 절감과 저장공간의 자유도, 보안 측면을 고려한다면 자가 구축 NAS는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2. 무료 NAS 구축에 필요한 준비물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준비가 필요합니다.

  • 오래된 데스크탑 PC 또는 노트북 - 최소 사양: 듀얼코어 CPU, 4GB RAM 이상, 16GB USB 또는 SSD
  • NAS 운영체제 설치용 USB (8GB 이상)
  • 하드디스크 또는 SSD (데이터 저장용)
  • 유선 LAN 연결 (무선보다 안정적)
  • 타 장치에서 접속할 스마트폰 또는 PC

3. 추천 무료 NAS 운영체제

다양한 NAS 전용 운영체제가 존재하며, 대표적으로 다음 두 가지가 많이 사용됩니다.

3-1. TrueNAS (구 FreeNAS)

  • 고급 기능과 강력한 안정성
  • ZFS 파일 시스템 기반
  • 스냅샷, 파일 공유, iSCSI, 미디어 스트리밍 등 지원
  •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TrueNAS 공식 사이트에서 ISO 이미지 다운로드 가능

3-2. OpenMediaVault

  • 초보자에게 적합한 간단한 구조
  • 웹 인터페이스 간단, 플러그인 지원 풍부
  • 우분투 기반, Debian 친화적

OpenMediaVault 공식 사이트에서 설치 이미지 제공

4. NAS 운영체제 설치 방법 (TrueNAS 기준)

  1. 공식 사이트에서 ISO 파일 다운로드
  2. Rufus 또는 balenaEtcher를 사용해 부팅 USB 생성
  3. 구형 PC 또는 노트북에 USB 연결 → BIOS 진입 후 USB로 부팅 설정
  4. 설치 마법사에 따라 OS 설치 진행 (디스크 포맷 주의)
  5. 설치 완료 후, 웹 주소(IP 주소) 안내 메시지 확인

설치 후에는 다른 PC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IP로 접속하여 NAS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5. NAS 초기 설정: 공유 폴더, 사용자 계정, 권한

  1. 스토리지 디스크 등록: 내장/외장 하드디스크 인식 및 초기화
  2. 데이터셋 또는 공유 폴더 생성: 사용할 폴더를 지정
  3. 사용자 계정 추가: 가족 또는 팀원별 사용자 생성
  4. SMB 공유 설정: 윈도우, 맥 등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 가능

초기 설정 후에는 윈도우 탐색기에서 \\NAS_IP주소로 접근하거나,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하여 일반 폴더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외부 접속 및 모바일 연동

외부에서도 NAS에 접속하려면 다음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DDNS 설정: IP가 변해도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
  • 포트 포워딩: 공유기 설정에서 NAS 포트 개방
  • HTTPS 인증서 설정: 보안 접속을 위한 Let’s Encrypt 연동
  • 모바일 앱: TrueNAS나 Nextcloud 앱 연동으로 스마트폰에서도 접속

주의: 외부 접속은 보안에 민감하기 때문에 , 반드시 강력한 비밀번호 + 포트 제한을 병행해야 합니다.

7. NAS 활용 사례

  • 사진 및 동영상 백업 서버: 스마트폰과 자동 연동
  •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Plex 또는 Jellyfin 설치로 NAS에서 직접 영상 시청
  • 자동 백업 시스템: PC 폴더를 주기적으로 NAS에 동기화
  • 버전 관리: 변경된 파일을 기록하는 스냅샷 활용
  • 가족 공유 서버: 개별 사용자 폴더로 권한 분리

 

오래된 PC나 노트북을 단순히 방치하거나 폐기하는 대신, 무료 NAS 운영체제를 설치하면 강력한 개인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TrueNAS와 OpenMediaVault는 무료임에도 상용 NAS 못지않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클라우드 요금 걱정 없이 자신만의 데이터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지금 바로 여유 있는 장비를 활용해 NAS를 구축하고, 나만의 안전하고 빠른 저장 공간을 직접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