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

Wi-Fi 7 란? 무엇이 달라졌고 언제부터 사용할 수 있을까? 무선 네트워크 기술은 점점 고도화되고 있으며, 현재 가장 주목받는 차세대 기술은 Wi-Fi 7 (IEEE 802.11be)입니다. Wi-Fi 6와 6E를 넘어선 이 규격은 속도, 지연 시간, 연결 기기 수 등 거의 모든 면에서 비약적인 성능 향상을 예상하고 있는데요.이번 글에서는 Wi-Fi 7의 핵심 특징부터, Wi-Fi 6/6E와의 차이점, 실제 출시 시점, 호환 기기까지 2025년 최신 정보로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1. Wi-Fi 7이란?Wi-Fi 7은 IEEE 802.11be라는 공식 명칭을 가진 차세대 무선 LAN 표준입니다. 이 기술은 초고속, 초저지연, 고용량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4K/8K 스트리밍, 클라우드 게임, VR/AR, IoT 환경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합니.. 2025. 6. 17.
Wi-Fi 6 vs Wi-Fi 6E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무선 인터넷 기술은 해마다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Wi-Fi 표준은 Wi-Fi 6과 Wi-Fi 6E입니다. 두 기술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사용 가능한 주파수와 성능, 호환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Wi-Fi 6와 Wi-Fi 6E의 핵심적인 차이점, 속도와 성능, 호환성, 실제 선택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1. Wi-Fi 6와 Wi-Fi 6E란?Wi-Fi 6 (802.11ax)Wi-Fi 6는 기존 802.11ac(일명 Wi-Fi 5)의 후속 규격으로, 2.4GHz와 5GHz 주파수 대역을 모두 활용합니다. 전송 속도와 안정성을 개선하고, 다수의 기기를 동시에 연결해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규격입니다.Wi-Fi 6E (Extended)W.. 2025. 6. 16.
Mesh WiFi와 일반 공유기 차이점 인터넷이 잘 되지 않는 방, 끊기는 영상 스트리밍, 로딩이 느린 온라인 게임. 이런 문제는 단순히 인터넷 속도의 문제가 아니라 와이파이 커버리지와 네트워크 구조에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이때 선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해결책은 Mesh WiFi 시스템 또는 기존 일반 공유기 + 확장기 구성1. Mesh WiFi란 무엇인가?Mesh WiFi는 다수의 노드(Node)를 이용해 하나의 유기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각각의 노드는 공유기 역할을 하면서도 서로 통신하여 신호를 끊김 없이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동하면서도 SSID가 끊기지 않고 자동 전환되며, 음영지역 없이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합니다.2. 일반 공유기 + 확장기 구성은?대부분의 가정에서는 하나의 메인 공유기에.. 2025. 6. 16.
와이파이 증폭기 설치 및 활용 방법 – 신호 세기 개선 집이나 사무실에서 와이파이 신호가 약하거나 끊기는 지역이 있다면, 와이파이 증폭기(확장기) 설치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이 자주 버퍼링되거나, 스마트폰이 특정 방에서 와이파이를 잘 잡지 못하는 경우라면 특히 효과적입니다.이 글에서는 와이파이 증폭기의 원리, 설치 방법, 추천 위치, 성능 개선 팁까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 와이파이 증폭기란?와이파이 증폭기(또는 확장기)는 기존 무선 신호를 받아 중계하는 장치입니다. 공유기에서 발생한 와이파이 신호를 받아, 신호가 약한 지역까지 도달하게 만들어줍니다.별도 인터넷선 설치 없이도 신호 도달 범위를 넓힐 수 있어, 복층 구조나 벽이 많은 구조의 주택, 넓은 사무공간에서 자주 사용됩니다.2. 설치 전 확인할 사항기존 공유기가 2.4GHz만 지원.. 2025. 6. 15.
NVMe SSD vs SATA SSD 차이,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최근 몇 년 사이 SSD 시장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는 키워드는 'NVMe'입니다. 많은 사용자가 “M.2 슬롯이 있으니 NVMe SSD를 써야 하나요?”, “SATA SSD보다 얼마나 빠른가요?” 같은 질문을 하곤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NVMe SSD와 SATA SSD의 차이점, 각 포맷의 장단점, 사용 목적에 따른 추천까지 2025년 기준으로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1. NVMe와 SATA의 기본 개념SATA SSD란?SATA(Serial ATA)는 기존 HDD에서 사용하던 저장장치 인터페이스입니다. SATA SSD는 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낸드 플래시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기존 HDD보다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다만 속도 한계가 존재하며, 6Gbps 대역폭이라는 물리적인 제한 때문에 실제 속도는 최대.. 2025. 6. 10.
SSD와 HDD 차이점 어떤 걸 써야 할까? 컴퓨터를 구매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는 바로 “SSD와 HDD 중 어떤 걸 써야 하나요?”라는 것입니다. 둘 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지만 구조부터 성능, 내구성, 가격까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SSD와 HDD의 차이점, 각각의 장단점, 추천 용도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1. SSD와 HDD란 무엇인가?SSD (Solid State Drive)SSD는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움직이는 부품이 없기 때문에 빠르고 조용하며 내구성이 뛰어납니다.HDD (Hard Disk Drive)HDD는 자기디스크와 헤드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디스크가 회전하.. 2025.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