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

윈도우 하드 링크, 심볼릭 링크 사용하는 법 하드디스크나 SSD를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면 중복된 파일, 여러 위치에 분산된 폴더, 백업 경로 문제 등으로 인해 파일 정리에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하드 링크(Hard Link)와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인데요. 리눅스나 macOS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기능이지만, 윈도우에서도 꽤 유용한 파일 관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링크의 개념, 생성 방법, 실전 활용 사례까지 상세하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1.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란 무엇인가?두 링크 모두 특정 파일 또는 폴더에 대한 가상 경로를 생성하여 마치 복사된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구조와 동작 방식에서 차이가 존재합니다.1-1. 하드.. 2025. 5. 23.
윈도우에서 포트 확인하고 차단하는 법 (프로그램별 네트워크 관리) PC를 사용하다 보면 특정 프로그램이 예상치 못하게 인터넷에 연결되거나, 외부에서 시스템으로 접근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개발 환경, 게임, 서버 프로그램 등은 특정 포트를 열고 있어 보안 또는 자원 측면에서 관리가 필요합니다.이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열려 있는 포트를 확인하고, 특정 포트를 방화벽을 통해 차단하는 방법, 그리고 특정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차단까지 단계별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1. 포트란 무엇이며, 왜 관리해야 하는가?포트(Port)는 컴퓨터가 인터넷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논리적 통로입니다. 각 포트 번호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대응되며, 예를 들어:80번 포트 → HTTP 웹 트래픽443번 포트 → HTTPS 보안 웹 트래픽21번 포트 .. 2025. 5. 22.
윈도우 시스템 변수와 사용자 변수 설정, 활용법 보통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프로그램 설치 후 환경변수를 설정하라는 안내를 자주 보게 됩니다. 특히 파이썬, 자바, 깃(Git), 안드로이드 SDK, Node.js 등 개발 도구를 설치할 때 환경변수(PATH, JAVA_HOME 등)를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과정은 필수입니다.하지만 환경변수의 개념이 생소하거나, 설정 방법을 잘 몰라 실행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환경변수의 개념부터 설정 방법, 실전 활용, 오류 해결 팁까지 단계별로 자세히 정리하여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도록 쉽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환경변수란 무엇인가?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는 운영체제나 특정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필요한 경로나 설정 값을 미리 등록해두는 전역 변수입니다.예를.. 2025. 5. 21.
윈도우 파일 탐색기 활용법 (잘 알려지지 않은 기능과 생산성 ) 파일 탐색기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중 하나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파일을 찾고, 이동하고, 정리하며, 각종 시스템 기능에 접근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탐색기를 기본적인 수준에서만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은 고급 기능과 숨겨진 편의 기능들이 존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파일 탐색기를 보다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 고급 검색, 빠른 실행, 파일 관리 팁까지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전 중심의 활용법을 소개합니다.1. 파일 탐색기 기본 기능과 인터페이스 이해파일 탐색기는 윈도우 키 + E를 눌러 실행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구성됩니다.주소 표시줄: 현재 위치한 폴더 경로를 확인하고 직접 입력 가능탐색 창: 좌측에 즐겨찾기, 라이브러리.. 2025. 5. 20.
PC 부팅 시 자동 실행 프로그램 관리하는 방법: 속도 향상, 보안 PC를 켜자마자 수십 초 이상 기다려야 바탕화면이 뜨는 상황, 또는 로그인과 동시에 여러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며 시스템이 느려지는 경험을 해보셨을텐데요, 이러한 문제의 가장 흔한 원인은 대부분 자동 실행 프로그램의 과다 등록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환경에서 자동 실행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비활성화하는 기본 방법부터, 레지스트리, 작업 스케줄러, 서비스 영역까지 포함한 고급 설정까지 단계별로 안내 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부팅 속도를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와 보안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1. 자동 실행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자동 실행 프로그램(Startup Programs)은 윈도우가 시작될 때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대표적으로 메신저, 클라우드 백업, 보안 .. 2025. 5. 19.
USB 없이 윈도우 재설치하는 방법 (복구 파티션) 윈도우를 재설치해야 하는 상황은 생각보다 자주 발생하곤 합니다. 시스템 속도 저하, 악성코드 감염, 오류 누적 등 다양한 이유로 포맷 후 재설치를 선택하게 되지만, 항상 USB가 준비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노트북 사용자나 외부 출장 중일 경우, USB 없이 윈도우를 재설치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은 매우 유용합니다.이번 글에서는 USB 없이도 가능한 복구 파티션을 활용한 로컬 초기화와 윈도우 10·11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다운로드 방식까지, 실전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해보도록 하겠습니다.1. USB 없이 윈도우를 재설치해야 하는 상황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USB 없이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복구 USB를 만들지 않고 포맷이 필요한 경우노트북에서 USB.. 2025. 5. 17.